건강하고 능동적인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건전한 디지털 이용 문화를 조성합니다.
디지털 권리 역량 강화 방안
디지털 권리 역량 강화 방안
- 디지털 자유·인권·연대를 위한 10대 핵심역량 -
<목차>
I. 디지털 심화기와 정책변화
II. 디지털 권리 증진을 위한 준비
1. 인간의 권리와 디지털 권리
2. 디지털 권리 역량 강화 필요성
3. 디지털 권리 역량 도출을 위한 분석
III. 디지털 권리 역량 강화 방안
1. 디지털 권리 역량 : 3대 가치와 10대 핵심역량
2. 디지털 권리 증진을 위한 정책 방향
※ 작성 및 문의 : 디지털포용본부 역기능대응팀 주윤경 수석(jyk@nia.or.kr), 이형주 주임(hj.lee@nia.or.kr)
2023 지능정보윤리이슈리포트_봄호
2023년 지능정보윤리 이슈리포트 봄호(Vol.4, No.1)입니다.
이번 호에서는 최근 공표된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정리했습니다.
먼저, 국가 승인통계인 ‘2022년 사이버폭력 실태조사’의 주요 내용과 결과를 분석한 리포트를 수록했습니다.
아울러, 해외 사이버폭력 싵태와의 비교를 위해 퓨리서치 센터에서 발표한 미국 청소년 대상의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분석했으며, 국내 대표적인 사이버폭력 대응 프로그램인 ‘사이버 어울림’을 소개하는 자료를 수록했습니다.
이와 함께, 매년 2월 전 세계적으로 열리는 ‘인터넷 안전의 날’에 대한 분석과 함께 최근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는 챗 GPT의 윤리적 문제를 다루는 이슈를 전문가의 시각에서 짚어봤습니다.
많은 관심 바랍니다.
<주요 내용>
1. 2022년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결과와 의미(김봉섭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연구위원)
2. 미국 청소년 ‘사이버불링’ 조사 결과 및 시사점(정의철 상지대학교 미디어영상광고학과 교수)
3. 사이버폭력 예방을 위한 사이버어울림 프로그램(임승용 가포초등학교 교사)
4. 안전한 인터넷의 날 소개 및 시사점(조정문 한국여성청소년미디어협회 연구소장)
5. ‘챗GPT’가 촉발한 생성AI 시대, 윤리문제 톺아봐야(김지선 전자신문 기자)
* 관련 문의 : 역기능대응팀 김봉섭 연구위원(053-230-1366)
2022 지능정보윤리이슈리포트_겨울호
1. 데이터를 통해 보는 2022년 우리나라 초·중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계보경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 메타버스의 혜택, 함정, 그리고 정책 방향(심홍진_정보통신정책연구원)
3. 청소년 유튜브 이용실태 및 리터러시 증진방안(이창호_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4. 사이버상에서 아동이 마주하는 폭력(강지영_숙명여자대학교)
5. 가짜뉴스에 누가 가장 취약한가?(김봉섭_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2 지능정보윤리이슈리포트_가을호
1. 가상 자산의 확산과 주요 이슈
2. 메타버스와 가상 자산 시대 NFT 이슈
3. NFT를 둘러싼 법적 이슈와 쟁점 : 지식재산권(IP)를 중심으로
4. 이용자 관점에서의 NFT이슈와 문제점
5. 디지털 역기능에 대한 인식과 전망 : 일반인과 전문가 조사 비교
2022 지능정보윤리이슈리포트_여름호
1. 온라인 안전을 위한 세계 각국의 정책과 대응(이원상_조선대학교 법학과 교수)
2. 호주 <자녀들의 온라인 위험 노출에 대한 부모 인식> 실태조사 결과와 시사점(송인덕_중부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부교수)
3. 온라인 안전을 위한 기술 개발 동향과 전망(최숙영_우석대학교 정보보안학과 교수)
4. 청소년의 새로운 온라인 위험, 디지털 자해(임민경_임상심리전문가/"자해를 하는 마음"저자)
5. 엔데믹 시대, 온라인에서 청소년 보호방안(성윤숙_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청소년삶의질연구실 실장)